무역통계는 관세법령 등에 따른 업무처리의 성질과 유형에 따라 보통무역통계, 특수무역통계, 보조통계로 분류(무역통계작성 및 교부에 관한 고시)됩니다.
- 보통무역통계는 우리나라와 외국 간에 물리적으로 이동되는 상품으로 계상되는 통계입니다.
- 특수무역통계는 보통무역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서 수출입화물통계, 환적화물통계, 중계무역통계, 운송수단용품통계, 수입간주물품통계를 말합니다.
- 보조통계는 운송수단 입출항통계, 여행자 입출국통계 등 관세행정 관련통계입니다.
협회가 제공하는 무역통계는 보통무역통계로 수출/수입신고필증 등 수출입신고된 물품에 대한 통계입니다. 따라서, 중계무역에 의해 외국환은행의 수출실적 인정을 받더라도 동 통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이 메뉴 이동을 하시면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통계 > 한국무역 > 수출입 총괄 > 주요통계 > 주요 품목별 수출입(MTI 3단위 기준)
- 국내통계 > 한국무역 > 품목 수출입 > 총괄(HSK/MTI/SITC 품목코드 기준)
- 세계통계 > 무역통계로 보는 주요국 > 한국 > 한국의 10대 교역상품(MTI 3단위 기준)
금액집계를 위한 Incoterms의 조건이 수출, 수입시 다르기 때문입니다.
- 수출 : FOB(한국, 중국, 일본, EU, 남북교역), FAS(미국)
- 수입 : CIF(한국, 중국, 일본, EU, 남북교역), Customs Value(미국)
또한 수출은 목적국 기준을, 수입은 원산지 기준으로 금액을 집계하며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에 의한 차이,
시점(월말 및 연말, 예를 들어 한국에서 12월 31일 수출하였으나 중국에서는 1월 1일 수입될 경우)에 의한 차이, 환율에 의한 차이 등에 의한 것입니다.
한국무역통계에서는 금액정보와 더불어 중량정보가 품목코드의 모든 단위에서 제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무역통계 중 중국무역통계의 경우 중량정보가 아닌 각 HS코드 최종단위에 대한 "물량정보(KG, L 등)"가 제공되고 있으며, 최종단위에서만 중량정보가 제공됩니다.
또한 출처가 Trade Map인 해외통계(칠레, 페루,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홍콩, 싱가포르,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라오스, 베트남, 미얀마)의 경우에 중량정보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중국무역통계 정보원천인 중국 해관총서의 경우, 중국 국경지대 보세구역(Bonded Area)으로부터의 수입을 '중국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것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입은 '원산국' 기준인데,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이 홍콩 등을 경유하여 다시 중국으로 수입되는 경우에도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계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K-stat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최근시점의 '수출금액'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되어 있습니다.
수입금액을 중심으로 정보를 보시고자 하신다면 조회화면의 상단에서 '정렬기준'을 수입금액으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검색하시는 모든 정보에 대해 수입금액 정렬기준으로 보고자 하신다면 K-stat 로그인 후 다음과 같이 개인설정하시면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통계가이드 > 개인설정 > 정렬항목(수입금액 선택) > 정렬순서(내림차순 선택) > 저장
첫째,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증감율은 전년동기대비 증감율입니다. 예를 들어 2014년 8월(누계)의 증감율은 2013년 1월에서 8월까지의 누계와 비교한 증감율입니다.
계산식으로는 (2014년 1~8월 수출금액 - 2013년 1~8월 수출금액) / (2013년 1~8월 수출금액) x 100 입니다.
둘째, 평균증감율이 사용됩니다.
사용자가 임의로 기간을 설정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맞춤분석의 메뉴(수출입 총괄, 산업/성질별 수출입, 품목 수출입, 국가 수출입, 다중비교통계 등)에서는 기간중의 평균증감율을 의미하며
최초값, 최종값, 총기간수를 계산하여 증감율을 도출합니다. 계산식으로는 (최종값/최초값)^(1/총기간)-1입니다.
셋째, 전기대비 증감율을 제공합니다.
맞춤분석의 메뉴(수출입 총괄, 산업/성질별 수출입, 품목 수출입, 국가 수출입, 대륙/경제권 수출입 등)의 상세화면(팝업)에서 제공되는 증감율은 전기와 대비한 증감율입니다.
예를 들어, 2014년 2분기의 전기대비 증감율은 2014년 1분기와 비교한 수치입니다. 계산식으로는 (2014년 2분기 수출금액 - 2014년 1분기 수출금액) / (2014년 1분기 수출금액) x 100입니다.
통계 사이트에서 ‘증감율’은 전년동기대비 증감율을 의미하며, 평균증감율 및 전기대비 증감율이 사용된 경우 별도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무역업고유번호를 발급받은 회원사의 수출현황, 취급품목의 수출, 그리고 관심품목의 수출에 대한 정보를 자사를 기준으로 전국과 지역 동종기업의 정보와 상호 비교, 분석해 드리는 진단서비스입니다.
진단통계는 수출실적과 관련된 통계정보로 대표 아이디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품목에 대한 취급업체수가 2개사인 경우 타사의 영업비밀 보호를 위해 정보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가 주관하는 무역의날에 포상하는 우수수출기업에 대한 '수출의 탑' 수상가능여부를 직접 시뮬레이션해 보는 서비스로
직수출, 간접수출, 용역 및 무체물 수출, 기타 수출실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가능하며 수출실적과 관련된 통계정보로 대표 아이디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한국무역통계의 품목, 국가, 대륙/경제권, 지자체, 항구/공항 등 주요 항목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2개 기간에 대해 수출입실적을 직접 비교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4년 1~9월의 실적과 2012년 1~9월의 수출입실적을 직접 비교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품목의 국가별 순위와 국가의 품목별 순위 정보를 제공합니다.
품목의 국가별 순위는 K-stat이 보유하고 있는 각국의 해외무역통계 DB에서 특정 품목(HS 6단위 까지)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년도에 해당되는 각국의 수출입 순위를 매겨 한꺼번에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의 품목별 순위는 K-stat이 보유한 개별 국가의 수출입품목(HS 6단위 까지)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기간에 해당되는 수출입 순위를 매겨 한꺼번에 보실 수 있습니다.
K-stat이 보유하고 있는 각국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기간 및 특정 품목에 해당되는 각국의 수출입정보를 한 꺼번에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세계무역통계의 전 국가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기간에 해당되는 개별 국가의 수출입정보를 한꺼번에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전 국가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세계무역 중 각국의 위치, 10대 수출국, 10대 수입국, 10대 흑자국, 10대 적자국을 표와 그래프로 한꺼번에 보실 수 있는 통계정보를 제공합니다.
K-stat 전체 메인화면과 각 국가별 무역통계 메인화면에서의 '+' 표시는 '해당 메뉴로 바로가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메인화면에서 특정국가의 지도를 클릭하신 후 국가명 옆에 있는 '+'를 클릭하시게 되면 해당 국가의 무역통계 메인화면으로 바로 이동하게 됩니다.
또한 각 국가의 하위메뉴명 옆에 있는 '+'를 클릭하시면 해당메뉴로 바로 이동하게 됩니다.
더불어 무역통계 조회기간에서 주기를 '년/반기/분기/월'로 설정하신 후 조회화면에서 보이는 '+' 표시는 하위 상세정보를 '더보기'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표시를 누르셔야만 주기별 정보조회가 가능하며 상세 주기정보가 나열되면 '-'로 표시됩니다.
화면에서 보이는 '년/반기/분기/월'의 주기정보를 동일하게 엑셀로도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많은 정보를 함께 제공해 드리고자 화면해상도가 조정되어 화면 좌우폭이 넓어졌습니다.
보시는 화면 전체를 출력하시고자 하신다면 다음과 같이 인쇄기능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 IE의 경우, 웹페이지 상단 메뉴 창에서 '파일'을 클릭→'인쇄 미리 보기' 클릭→화면 출력비율을 조정 또는,
웹페이지 상단 메뉴 창에서 '파일'을 클릭→'인쇄 미리 보기' 클릭→출력화면이 '세로'로 설정된 것을 '가로'로 변경
- Chrome의 경우,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신 후 '인쇄'를 클릭→레이아웃에서 출력화면이 '세로'로 설정된 것을 '가로'로 변경
상세한 안내내용은 '통계가이드-서비스 활용법 구성'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무역통계는 기본 조회화면과 상세 조회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조회화면은 팝업창으로 열리게 됩니다.
상세 조회화면이 열리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 IE의 경우, 웹페이지 상단 메뉴 창에서 '도구'를 클릭→'팝업 차단' 클릭→'팝업 차단 사용 안함'으로 설정
- Chrome의 경우, 화면 상단 우측 '도구 버튼' 클릭→'설정' 클릭→'고급 설정' 열기→'개인정보'의 '콘텐츠 설정' 클릭→팝업에서 '팝업 표시 허용'으로 설정
또는, '예외 관리'에서 K-stat(http://stat.kita.net) 팝업 예외 등록
상세한 안내내용은 '통계가이드-서비스 활용법 구성'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무역통계는 관세법령 등에 따른 업무처리의 성질과 유형에 따라 보통무역통계, 특수무역통계, 보조통계로 분류(무역통계작성 및 교부에 관한 고시)됩니다.
- 보통무역통계는 우리나라와 외국 간에 물리적으로 이동되는 상품으로 계상되는 통계입니다.
- 특수무역통계는 보통무역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서 수출입화물통계, 환적화물통계, 중계무역통계, 운송수단용품통계, 수입간주물품통계를 말합니다.
- 보조통계는 운송수단 입출항통계, 여행자 입출국통계 등 관세행정 관련통계입니다.
협회가 제공하는 무역통계는 보통무역통계로 수출/수입신고필증 등 수출입신고된 물품에 대한 통계입니다. 따라서, 중계무역에 의해 외국환은행의 수출실적 인정을 받더라도 동 통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이 메뉴 이동을 하시면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통계 > 한국무역 > 수출입 총괄 > 주요통계 > 주요 품목별 수출입(MTI 3단위 기준)
- 국내통계 > 한국무역 > 품목 수출입 > 총괄(HSK/MTI/SITC 품목코드 기준)
- 세계통계 > 무역통계로 보는 주요국 > 한국 > 한국의 10대 교역상품(MTI 3단위 기준)
금액집계를 위한 Incoterms의 조건이 수출, 수입시 다르기 때문입니다.
- 수출 : FOB(한국, 중국, 일본, EU, 남북교역), FAS(미국)
- 수입 : CIF(한국, 중국, 일본, EU, 남북교역), Customs Value(미국)
또한 수출은 목적국 기준을, 수입은 원산지 기준으로 금액을 집계하며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에 의한 차이,
시점(월말 및 연말, 예를 들어 한국에서 12월 31일 수출하였으나 중국에서는 1월 1일 수입될 경우)에 의한 차이, 환율에 의한 차이 등에 의한 것입니다.
한국무역통계에서는 금액정보와 더불어 중량정보가 품목코드의 모든 단위에서 제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무역통계 중 중국무역통계의 경우 중량정보가 아닌 각 HS코드 최종단위에 대한 "물량정보(KG, L 등)"가 제공되고 있으며, 최종단위에서만 중량정보가 제공됩니다.
또한 출처가 Trade Map인 해외통계(칠레, 페루,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홍콩, 싱가포르,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라오스, 베트남, 미얀마)의 경우에 중량정보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중국무역통계 정보원천인 중국 해관총서의 경우, 중국 국경지대 보세구역(Bonded Area)으로부터의 수입을 '중국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것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입은 '원산국' 기준인데,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이 홍콩 등을 경유하여 다시 중국으로 수입되는 경우에도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계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K-stat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최근시점의 '수출금액'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되어 있습니다.
수입금액을 중심으로 정보를 보시고자 하신다면 조회화면의 상단에서 '정렬기준'을 수입금액으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검색하시는 모든 정보에 대해 수입금액 정렬기준으로 보고자 하신다면 K-stat 로그인 후 다음과 같이 개인설정하시면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통계가이드 > 개인설정 > 정렬항목(수입금액 선택) > 정렬순서(내림차순 선택) > 저장
K-stat에서 제공하는 증감율은 3가지 입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증감율은 전년동기대비 증감율입니다. 예를 들어 2014년 8월(누계)의 증감율은 2013년 1월에서 8월까지의 누계와 비교한 증감율입니다.
예를 들어 2014년 8월(누계) 수출금액 증감율의 경우 (2014년 1~8월 수출금액 - 2013년 1~8월 수출금액) / (2013년 1~8월 수출금액) x 100 입니다.
두번째는 평균증감율이 사용됩니다.
사용자가 임의로 기간을 설정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맞춤분석의 메뉴(기간통계, 순위통계, 다중비교통계)에서는 기간중의 평균증감율을 의미하며 최초값, 최종값, 총기간수를 계산하여 도출한 증감율입니다. 더불어 전기대비증감율을 제공합니다.
맞춤분석의 메뉴(기간통계, 순위통계, 다중비교통계)의 상세화면(팝업)에서 제공되는 증감율은 전기와 대비한 증감율입니다.
예를 들어 2014년 2분기의 전기대비증감율은 2014년 1분기와 비교한 수치입니다.
무역업체 중 해당정보가 유출되지 않기를 바라는 분들의 민원과 공개된 정보를 악용하시는 분(TM 등)들이 많아 2013년부터는 서비스를 중단하게 되었습니다.
지난해 11월 무역통계서비스 개편시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협회 회원사와 전문무역상사, 이달의무역인상 수상업체 정보만을 MTI품목 기준으로 회원사 분들끼리만 열람하실 수 있게 서비스가 개편되어 제공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업체 대표아이디로 접속하셨을 경우에는 정보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KITA.net - 무역정보 - 업체/품목검색에서 업체명을 검색하시거나, TradeKorea를 통해서 취급하는 품목업체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협회가 운영하는 전문무역상사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품목을 취급하는 업체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무역업고유번호를 발급받은 회원사의 수출현황, 취급품목의 수출, 그리고 관심품목의 수출에 대한 정보를 자사를 기준으로 전국과 지역 동종기업의 정보와 상호 비교, 분석해 드리는 진단서비스입니다.
진단통계는 수출실적과 관련된 통계정보로 대표 아이디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품목에 대한 취급업체수가 2개사인 경우 타사의 영업비밀 보호를 위해 정보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가 주관하는 무역의날에 포상하는 우수수출기업에 대한 '수출의 탑' 수상가능여부를 직접 시뮬레이션해 보는 서비스로
직수출, 간접수출, 용역 및 무체물 수출, 기타 수출실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가능하며 수출실적과 관련된 통계정보로 대표 아이디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한국무역통계의 품목, 국가, 대륙/경제권, 지자체, 항구/공항 등 주요 항목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2개 기간에 대해 수출입실적을 직접 비교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4년 1~9월의 실적과 2012년 1~9월의 수출입실적을 직접 비교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품목의 국가별 순위와 국가의 품목별 순위 정보를 제공합니다.
품목의 국가별 순위는 K-stat이 보유하고 있는 각국의 해외무역통계 DB에서 특정 품목(HS 6단위 까지)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년도에 해당되는 각국의 수출입 순위를 매겨 한꺼번에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의 품목별 순위는 K-stat이 보유한 개별 국가의 수출입품목(HS 6단위 까지)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기간에 해당되는 수출입 순위를 매겨 한꺼번에 보실 수 있습니다.
K-stat이 보유하고 있는 각국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기간 및 특정 품목에 해당되는 각국의 수출입정보를 한 꺼번에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세계무역통계의 전 국가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기간에 해당되는 개별 국가의 수출입정보를 한꺼번에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전 국가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세계무역 중 각국의 위치, 10대 수출국, 10대 수입국, 10대 흑자국, 10대 적자국을 표와 그래프로 한꺼번에 보실 수 있는 통계정보를 제공합니다.
K-stat 전체 메인화면과 각 국가별 무역통계 메인화면에서의 '+' 표시는 '해당 메뉴로 바로가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메인화면에서 특정국가의 지도를 클릭하신 후 국가명 옆에 있는 '+'를 클릭하시게 되면 해당 국가의 무역통계 메인화면으로 바로 이동하게 됩니다.
또한 각 국가의 하위메뉴명 옆에 있는 '+'를 클릭하시면 해당메뉴로 바로 이동하게 됩니다.
더불어 무역통계 조회기간에서 주기를 '년/반기/분기/월'로 설정하신 후 조회화면에서 보이는 '+' 표시는 하위 상세정보를 '더보기'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표시를 누르셔야만 주기별 정보조회가 가능하며 상세 주기정보가 나열되면 '-'로 표시됩니다.
화면에서 보이는 '년/반기/분기/월'의 주기정보를 동일하게 엑셀로도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많은 정보를 함께 제공해 드리고자 화면해상도가 조정되어 화면 좌우폭이 넓어졌습니다.
보시는 화면 전체를 출력하시고자 하신다면 다음과 같이 인쇄기능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 IE의 경우, 웹페이지 상단 메뉴 창에서 '파일'을 클릭→'인쇄 미리 보기' 클릭→화면 출력비율을 조정 또는,
웹페이지 상단 메뉴 창에서 '파일'을 클릭→'인쇄 미리 보기' 클릭→출력화면이 '세로'로 설정된 것을 '가로'로 변경
- Chrome의 경우,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신 후 '인쇄'를 클릭→레이아웃에서 출력화면이 '세로'로 설정된 것을 '가로'로 변경
상세한 안내내용은 '통계가이드-서비스 활용법 구성'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무역통계는 기본 조회화면과 상세 조회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 조회화면은 팝업창으로 열리게 됩니다.
상세 조회화면이 열리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 IE의 경우, 웹페이지 상단 메뉴 창에서 '도구'를 클릭→'팝업 차단' 클릭→'팝업 차단 사용 안함'으로 설정
- Chrome의 경우, 화면 상단 우측 '도구 버튼' 클릭→'설정' 클릭→'고급 설정' 열기→'개인정보'의 '콘텐츠 설정' 클릭→팝업에서 '팝업 표시 허용'으로 설정
또는, '예외 관리'에서 K-stat(http://stat.kita.net) 팝업 예외 등록
상세한 안내내용은 '통계가이드-서비스 활용법 구성'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